목록React.js (4)
자스알못의 JS 이야기
오늘은 간단한 사용기를 들고 와봤습니다.최근에 front 단과 서버를 분리하면서 결론적으로 서버가 두대 필요하게 되었는데, 문제는 aws 에서 인스턴스 두개 이상을 쓰는 순간 프리 티어가 빨리 소모된다는 사실이죠...! ec2 프리티어는 1년간 총 750시간을 쓸 수 있게 해주는데, 한 인스턴스 당으로 계산하는게 아니라 인스턴스들의 사용량 합으로 이를 계산합니다. 그래서! 저는 가난한 학생...이기 때문에, S3 로 프론트 호스팅을 제공하고 서버를 ec2 한대로 돌리기로 했습니다. S3 는 아마존의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인데요. 자세한건 사실 저도 모르고 ... 웹의 정적 에셋(html, js, css, png 등) 을 저장해놓았다가 제공만 해주는 역할로 씀으로써 프론트쪽 서버를 따로 안두어도 되게 만..
어제부터 이제 본격적으로 개인적으로 하던 프로젝트를 리액트로 옮기고 있는데, 이쯤되서 간단하게 한 번 정리를 해볼까 합니다. 사실 프로젝트라고 뭐가 있는 건 아니고... 그냥 게시판이나 로그인 기능 등을 SPA 로 구현해 놓은 것인데, 기본적인 틀을 보는데는 나쁘지 않을 것 같아서 소개를 해봅니다. 일단 리액트 게시판이니까 프론트 부터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서버는 추후에 node 게시판에 업로드 하겠습니다. 1. File Structure public/ index.html src/ actions/ reducers/ configureStore.js components/ Nav / nav.js nav.less nav.css Alert / alert.js ... routes / Login / login.js ..
예 맞아요... 제목에서 보이다시피 오늘은 fetch api 써보려다 삽질만 열심히 하고 실패한 사례를 보겠습니다... 일단 사건의 발단은 Google I/O의 웹 기술 세션에서 fetch api 라는게 있다 라는 부분부터 시작을 하는데, 이때까지만 해도 저런 핫트렌드 기술은 아직 써볼일도 없겠지 하고 있었는데 ... 그 후, 거의 다른 소스를 복붙하다시피 해서 기반이 약했던 개인 프로젝트의 앵귤러 단을 버리고! 이사를 하고자 리액트를 시작하게 되었는데요 리액트를 시작하고 나서도 시작된 광활한 삽질!! 리액트 홈페이지 정독과 관련 블로그 정독, 그리고 어김없이 나오는 환경설정,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redux, JSX, react-route 의 라우팅 모듈 등등 '내가 이러려고 리액트를 시작했나 어렵고 ..
첫 글이라서 가볍게 시작해봅니다. 리액트를 쓰기 위해서 환경 설정을 해봅시다! 먼저 리액트 환경 설정에는 크게 두가지 재료가 필요합니다. Babe(ES6)webpack(bundler) - import 와 require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고 자바스크립트 파일을 하나로 합쳐줌 그리고 node.js 를 통해 패키지 설치를 해주시면 되는데 설치가 되어 있지 않은 분은https://nodejs.org/en/ 으로 가셔서 하시기 바랍니다. 1. 프로젝트 폴더 생성 및 의존성 설치 머 폴더 생성은...그냥 마음에 드는 이름으로 하나 해주시고! 커맨드 라인에서 해당 폴더로 들어가주신 후에 패키지 설치를 해주시면 됩니다.( 아 그전에 npm init 을 통해서 package.json 파일을 만들어 줍니다. 의존성 관..